새로나온 보고서

4차 산업혁명 관련 2017년 농업농촌 이슈는 무엇이었나?

  • 저자 : 김용렬 , 남숙경, 박혜진, 송성환
  • 발행일: 2018.08.08.

요약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업·농촌 및 농정 이슈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하여 매주 국내외 농업·농촌 정책동향, 연구동향, 언론동향, 현장의견 등을 수집하고 농업 관련 현안 문제에 대한 최근 정보, 대책방안 등을 전달하는 주간농업농촌동향을 발간해오고 있다.
클라우드 슈밥 교수가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이란 화두를 던진 이후,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AI, 빅데이터 등 지능정보 기술로 촉발된 4차 산업혁명 시기가 도래하였고, 이런 변화가 농업·농촌 부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거나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여러 국가들이 전 분야에 걸쳐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정책을 시도하고 있고 우리 정부도 4차 산업혁명이 촉발하는 사회‧제도, 산업‧경제, 과학·기술 전 분야의 변화에 맞춰, 각 분야가 긴밀히 연계된 종합 정책을 통해 ‘사람 중심’의 4차 산업혁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2017년 매주 발간된 주간농업농촌동향 자료를 근거로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되는 농업·농촌 정책, 연구, 국내외 언론동향 자료들을 수집·분석하였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워드 클라우드 방식과 4차 산업혁명 및 농업과의 연관키워드 분석, 감성키워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Purchase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 저자: 신유선 , 손미연, 박동규
  • 발행일: 2018.05.29.

요약문

FTA 체결 확대로 농산물 시장 개방이 가속화되고 있고 세계 각국의 농업 여건이 더욱 밀접해지면서 해외 농업·농촌에 대한 통계정보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수요에 부합하고자 2011년부터 매년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을 발간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생산 위주의 국제 농업통계 자료집에서 벗어나 총량지표, 농업생산지표, 생산요소지표, 수출입지표, 소비지표로 확대하고 세계편·품목편·국가편으로 카테고리를 구분하여 연구자가 알고자 하는 지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체계화하였다. 주요 지표에 대해서는 최근 데이터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농업 동향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 속 한국농업의 위상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Purchase

2018 아프리카 편람

  • 발행처: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목차
PART 1. 아프리카 대륙 개관

1. 지역의 지리적, 역사적, 인문적 특성
2. 지역의 정치적, 경제적 특성
3. 지역의 전략적 가치
4. 아프리카 국가들의 2018년 경제전망
5. 외국인투자 여건 및 국가경쟁력 평가

PART 2. 아프리카 국가 편람
1. 북부 아프리카
2. 남부 아프리카
3. 동부 아프리카
4. 서부 아프리카
5. 중부 아프리카

PART 3. 부록
1. 각국의 주요 경제지표별 순위
2. 국민소득 및 지역에 의한 국가분류
3. 각국의 주요 광물자원별 매장량 및 점유율
4. 각구의 원유 및 천연가스 매장·생산·소비현황
5. 각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현황
6. 각국의 기업경영여건 및 글로벌경쟁령지수 순위
7. 각국의 부패인식지수 순위
8. 각국의 인간개발지수 순위
9. 각국의 FDI 유출입 통계

Purchase

수은해외경제(2018년 여름호)

  • 발행처: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목차

I. 이슈분석
- 미국의 이란 핵협정(JCPOA) 파기 후의 동향과 이란 및 중동 정세 전망
- 미국의 이란 핵협정(JCPOA) 탈퇴가 석유시장에 미치는 영향

- 미국 수입규제 정책이 수입기업에 미치는 영향

- 아르헨티나, 대규모 자금 유출 가능성에 다른 IMF 앞 탄력대출 신청

II. 해외경제 투자정보
- 인도 : 2018년 G20 국가 중 경제성장률 1위 전망
- 남아프리카공화국 : 광업 부문의 둔화로 저성장 지속
- 카타르 : 단교 사태를 극복하고 경상수지 흑자 회복
- 터키 : 예르도안 대통령 당선으로 일인 집권 체제 강화

- 페루 : 원자재 국제가격 상승으로 3%대 성장 기대

III. 산업동향
- ICT산업 2017년 4분기 동향 및 2018년 전망
- 2018년 1분기 해운•조선업 동향
- 2018년 1분기 수출실적 평가 및 2분기 전망

Purchase

한-CLMV 무역·투자 협력 여건 분석 및 시사점 - 베트남과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 저자: 정선인, 민혁기
  • 발행일: 2018.05.31

요약문

○ 베트남이 중국을 잇는 생산기지로 부상함에 따라 글로벌 기업들의 대베트남 투자진출은 급격하게 증가했으며 한국은 가장 성공적으로 베트남을 생산기지로 활용하는 국가 중 하나임.

○ 이에 따라 한국의 대베트남 교역 및 투자는 과거 의류제조업 중심에서 최근 전자 및 IT제품 생산을 중심으로 하는 교역 및 투자 구조가 형성되었음.
- 전자산업에 대한 현지 투자가 증가함에 따라 중간재를 중심으로 한국의 대베트남 수출이 크게 증가했으며 전체 수출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도 크게 확대됨.
- 전자산업을 중심으로 투자는 한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임.

○ 그러나 베트남의 인건비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추세를 고려했을 때 베트남을 단순 제조기지로만 활용하던 전략은 변화가 필요한 시기임.


Purchase

Vietnam’s Low National Competitiveness: Caus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 저자: LE Quoc Phuong
  • 발행일: 2018-04-04

요약문

2006~17년 글로벌경쟁력지수(GCI)를 이용한 세계경제포럼(WEF)의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베트남의 국가경쟁력은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은 조사대상 국가 중 경제적 측면에서 중위권 국가에 해당된다. 베트남의 발전 단계를 살펴보면, 2015년 이전에는 베트남이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와 함께 1단계(factor-driven, 요소 주도형) 수준에 있었으나, 2015년 이후부터 브루나이, 필리핀이 속한 2단계(efficiency-driven, 효율성 주도형)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은 2단계에 속한 인도네시아, 태국을 비롯하여 3단계 전환과정에 있는 말레이시아와 3단계(innovation-driven, 혁신 주도형)의 싱가포르보다 낙후되어 있다. 본 연구는 국가적인 측면에서 WEF의 평가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베트남의 국가경쟁력 수준이 낮은 주요 원인을 심층 분석한다. 베트남의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광범위한 장기 경제성장 모델, 팽창정책, 취약한 사업환경 및 기반 시설, 낮은 연구개발 지출, 저조한 고등 교육 투자와 같은 구조적인 문제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베트남의 문제점은 낮은 생산성, GDP 성장률 하락, 경제의 불안정, 중간 소득 함정, 취약한 비즈니스 경쟁력, 낮은 수준의 기술 및 인적 자본, 환경의 저하임을 알 수 있다. 베트남의 국가경쟁력 수준이 낮은 주요 원인과 문제점을 기반으로 국가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결과, 경제개혁과 경제성장 모델의 변화, 기술 및 인적 자본 수준 강화, 비즈니스 환경 개선, 거시경제 안정성 보장, 선진국 벤치마킹을 통한 인프라 개선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맨위로 이동 맨아래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