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문화예술이라는 새로운 젤리의 발견

1
정지은   │  문화평론가


코로나19라는 팬데믹 상황이 이어진 지 1년이 훌쩍 넘었다. 낯설었던 마스크는 필수품이 되었고, 더 낯설었던 비대면 강의와 회의는 이제 일상이다. 문화예술은 최소한의 사회적 배려에서조차 배제된 채 위축되었고, 지역의 상황은 더 열악해졌다.
코로나19 초기, 다양한 온라인 공연을 시간표까지 만들어가며 챙겨보고 신나하던 것도 잠시, 전국 각지에서 경쟁적으로 촬영해 올리는 콘텐츠가 많아지다 보니 나중에는 피곤해져서 더 이상 보지 않게 됐다. 게다가 온라인은 더 크고, 더 화려하고, 더 유명할수록 접근성이 좋아지는 아이러니와 양극화를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유료 상영이 많아지자 양극화는 더 심해졌다. 지역에서는 온라인 상영을 하려고 해도 당장 영상 장비를 구축하고 그 장비를 운용할 줄 아는 인력을 찾는 것만으로도 쉽지 않았으니까. “사실 코로나19 이전에도 사회적 거리두기는 확실하게 잘 됐어요. 어려운 게 하루이틀인가요, 뭐” 담담하게 말하던 예술가 앞에서 할 말이 없었다. 서울시에서 예술인들의 온라인 송출을 지원하는 시설을 구축하고 있다고 하는데, 이조차도 내년에 오픈한다고 하니 지역에서의 갈증을 당장 풀 만한 해결책은 아니다.

그래도 코로나19 덕에 좋은 점(?)도 있다. 바로 동네의 발견이다. 많은 사람들이 코로나 19이후 동네에서 더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 하다못해 배달을 시켜도 동네 가게에 시키고, 집 앞 슈퍼에도 자주 가게 되고, 그러다보니 동네에서 서로 물품을 교환하는 당근마켓 같은 서비스도 성장하게 된 것은 아닐까? 역설적으로 코로나19가 사람들에게 가까이 있어도 몰랐던, 동네라는 새로운 일상을 발견하게 해 준 셈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역은 삶의 출발점이자 문화와 예술이 만들어지는 기본 단위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1).”는 지적처럼, 지역문화예술이야말로 동네라는 ‘슬세권(슬리퍼+세권)’에서 즐길 수 있는, 또 하나의 숨겨진 보물이다.
당장 코로나 19로 잔뜩 움츠러들어있던 지역의 예술가들, 작은 문화공간들이 하나둘씩 시민들을 만날 준비를 하고 있다. “온라인으로 공연을 볼 때 시청자의 집중력은 20분이 한계”라는데, 집 소파에 앉아서 온라인 공연이나 전시를 볼 수는 있겠지만, 그 체험이 어떤 추억으로 남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온라인과 달리 지역에서 직접 만나는 문화예술은 물리적인 공간에서만 느낄 수 있는 공기와 사람, 분위기를 함께 느낄 수 있고 그래서 누군가의 기억과 추억 속에 남을 수 있다. 화려한 장비는 없지만 생활영역을 공유하는 사람들이 삼삼오오 함께하고, 실험해보면서. 나름의 방식으로 지속할 수 있는 활동들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야말로 코로나19 이후 지역문화예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 아닐까?

정세랑 작가의 소설 ‘보건교사 안은영’의 주인공 안은영은 남들 눈에 보이지 않는 ‘젤리’를 볼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젤리란 사람들의 욕망 덩어리인데, 안은영은 쉽게 말하자면 ‘젤리 퇴마사’다.
소설 속 주인공이 흔히 그렇듯, 안은영은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세상을 하나 더 보면서 살아간다. 소설을 읽고 이런 생각이 들었다. 지역문화예술을 알고 즐긴다는 건, 보건교사 안은영처럼 세상을 보는 눈을 하나 더 갖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마스크 없는 일상으로 돌아간다면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지역문화예술’ 젤리를 발견하고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안은영이 보는 젤리와 달리, ‘지역문화예술’이라는 젤리는 알고 나면 즐기고 함께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테니 말이다. 그 과정에서 지역문화재단, 특히 서구문화재단과 같은 기초문화재단과 종사자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함은 물론이다.


하장호, 서울 성북을 통해 본 코로나 19 이후 지역문화의 가능성,
『코로나 19를 감각하는 사유들』, 인천문화재단,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