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A 스터디

 

1. SDGs와 농업개발: 식량안보와 포용적 경제성장을 중심으로

 
저자: 김승준
발행기관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세계농업
발간일 : 2016.02.16.
지난 2015년 9월 ‘개발의제 도입을 위한 UN 정상회담’을 통해 총 17개의 목표와 169개의 세부목표로 구성된 새로운 개발의제, 즉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가 제시되었다. 본고에서는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의 3대 축 중 하나인 경제성장과 농업이 갖는 관계를 조명하고, 최근 국제개발협력에서 중요시하고 있는 식량안보와 포용적 경제성장의 관점에서 농업이 갖는 중요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논의를 소개한다.

2. 국제개발기구들의 아프리카 농업기술보급사업 성공요인 분석

 
발행기관 : 농촌진흥청
주관연구책임자 : 우수곤
발간일 : 2015. 02.
세부과제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제개발기구들의 아프리카 농업기술보급사업 성공요인 분석을 다룬 제1세부과제에서는 공여기관·수원국 기준별로 국제개발기구의 아프리카 농업기술 전수사업 현황 및 성공사례를 분석하였다.

제2세부과제는 아프리카농업기술협력사업의 추진 전략 모색 및 대상국별 개선과제 발굴을 주제로 하며, 연구 내용은 농업기술 수준 진단, 수원국별 세부 기술협력 추진 전략으로 세분화 된다. 먼저, 본 연구는 아프리카 국제농업개발협력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수요자 중심 국제개발협력을 제시하여 아프리카 수원국의 농업발전단계를 진단하고, 이를 군집화하여 수원국 중심 농업협력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있다.

2015년에 진행된 제3세부과제의 주요 주제는 아프리카 지역 농업기술전수 시범사업 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에 있었다. 따라서 제3세부과제에서는 1차년도 KAFACI 농업기술보급시범사업의 경과를 확인하고, 관련 성과를 평가하는 데 주력하였다. 본격적인 평가에 앞서, 국내외 개발협력기관의 농업기술보급사업 평가 사례를 통하여 관련 분야 평가 현황 및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기존의 평가 동향은 OECD/DAC에서 제시하는 5대 평가기준에 근거한 정성적 평가에 의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집행경과 분석 및 1년차 사업평가 내용에 근거하여 KAFACI 농업기술보급시범사업 효과성 제고를 위한 발전 방안을 도출하고 있으며, 더불어 1년차 및 2년차 연구내용을 종합함으로써 국제농업기술협력사업이 견지해야 할 기본 사업전략 및 유의사항을 제언하는 것으로 연구를 종합하고 있다.

3. 농업 ODA가 개발도상국의 농업생산량에 미치는 효과분석

 
저자 : 김영일 ( Young-il Kim ) , 한홍열 ( Hong-yul Han )
출처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27권 5호 564~575, 총 12 pages
본 연구는 농업 ODA가 농업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OECD/DAC의 CRS 코드가 분류하고 있는 농업관련 ODA 중에서 그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농업정책 및 행정관리, 농업개발, 농지개발, 식량생산과 관련한 ODA가 농업생산량 증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국가별 장기 시계열을 토대로 농업 ODA의 분류(OECD-CRS 코드)에 따라 분야별로 농업생산량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다른 산업부문과는 달리 개발도상국에서 농업생산량 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며, 농업 ODA가 개발도상국의 평균적인 농업생산량 을 높이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농업생산량에 미치는 시차와 예산투입의 경로 등도 고려해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 이와 같은 시차변수 및 정책적 변수에 대한 통계자료를 확보하여 보완 분석한다면 농업 ODA의 생산증대 효과에 대한 보다 적정한 평가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한다.

4. SDGs와 농업부문 성과평가 및 쟁점

 
저자 : 김태윤 전병균 조선미
발간일 : 2016.02.16.
지난 2015년 9월, UN 개발정상회의에서 새천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이하 MDGs)가 종료됨에 따라 이를 대체하고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개발목표로서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가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SDGs는 농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최상위 17개 목표 중 농업‧농촌개발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목표는 1, 2, 4, 6, 9, 12, 13, 14, 15이다. 본고에서는 SDGs와 농업부문 성과평가 및 쟁점에 대해 살펴본다.

1. 타지키스탄의 농업현황과 시사점

 
저자: 이윤정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세계농업.
발행일: 2015.09.16.
∙ (요약) 타지키스탄의 농업은 전체 GDP의 약 21%를 차지하고 있으나, 전체인구 중 농촌인구가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전체 노동인구 중 25%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어 농업·농촌에서의 발전이 국가발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있다. 타지키스탄은 국가개발전략에서 식량안보 보장 및 지속가능한 자원이용을 위한 환경보호 등 농업부문에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타지키스탄 농업현황과 시사점에 대해 살펴본다.

맨위로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