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 Insights

M&A시장에서의 VC의 역할

티에스인베스트먼트
김영호 부사장
벤처캐피탈은 신산업을 육성하는 첨병의 역할을 한다. 첨단기술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사업화하는 벤처기업에게는 고위험, 고수익을 추구하는 벤처캐피탈이 반드시 필요하고, 벤처생태계를 유지하는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정부의 지속적인 제도 개선과 한국모태펀드, 한국성장금융, KDB산업은행 등 정부주도 출자기관들의 적극적인 출자와 연기금 등의 출자규모 증액에 힘입어, 창업투자회사를 중심으로 벤처캐피탈의 수와 운영조합의 규모가 계속 증가, 국내 벤처캐피탈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국내 벤처캐피탈의 풍부한 유동성에도 불구하고 투자회수(Exit)방법이 기업공개(IPO)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어 코스닥시장이 침체되는 경우 벤처캐피탈의 투자금 회수가 어려워지고, 투자가 위축되면서 벤처캐피탈업계의 생존이 문제가 될 수 있다.

한국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2018년말 기준 국내 회수시장은 장외매각 및 상환은 54.1%(주식 43.6%, 채권 10.5%)이고, 이어서 IPO가 19.2%, M&A가 2.8%의 비중을 차지하였다. 성공적인 Exit이라고 볼 수 있는 IPO와 M&A의 합계 비중이 22%수준인 점은 국내 회수시장이 여전히 장외매각이나 상환에 편향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2018년 현재 벤처기업이 창업 후 IPO가 되기까지 평균 15년이 소요되고 있어서 IPO로 투자자금을 회수하려는 벤처캐피탈의 경우 조합의 만기가 5~7년인 점을 감안할 때, IPO전에 세컨더리펀드에 대한 매각이나 투자기업에 대한 상환을 통해 회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최근 들어 벤처, 중소기업에 대한 다양한 M&A가 등장하고 있으며, 대기업과 벤처기업, 벤처기업과 벤처기업 간의 M&A와 전략적 제휴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고, 벤처, 중소기업의 M&A비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젊은 창업가들을 중심으로 회사규모가 일정규모에 이르렀을 때 경영권매각을 통한 Exit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고, 베이비붐 세대의 중소기업 대주주들이 60대에 들어서면서 2세들에게 승계하는 것보다 경영권매각을 선호하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벤처, 중소기업의 M&A 딜규모가 300억원이내가 대부분이고, 이러한 중소규모 딜을 받아줄만한 국내 벤처캐피탈의 M&A펀드는 사실상 손에 꼽을 정도로 미약하다. 국내 PEF는 펀드규모가 커지면서 포트폴리오 관리부담을 감안, 딜규모가 500억원이상인 딜에 집중할 수 밖에 없어 300억원이하의 딜에 대해 수요를 충족해주는 펀드가 많지 않다.

또한, VC의 전형적인 투자형태를 보면 소수지분을 투자하고 수많은 포트폴리오 투자를 하면서 대주주나 창업자의 능력에 크게 의존하는 딜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M&A투자의 경우 투자하는 시점부터 1~2대주주로서 기존 경영진 또는 새로운 경영진과 회사경영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CFO파견을 통해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회사의 체계를 갖춰나가는 집중적인 사후관리를 요한다. 이러한 PMI(인수 후 통합관리, Post Merger Integration)에 대한 경험이 많은 VC가 극소수에 지나지 않은 게 현실이다.

결국, 벤처, 중소기업의 M&A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M&A목적의 펀드를 지속적으로 확대시켜야 하고, M&A경험이 풍부한 인력들이 지속적으로 VC업계로 진입할 수 있도록 M&A전문 벤처캐피탈리스트를 양성하는 프로세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