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ap 톡!톡!

KAPEX사업 참여에 대한 소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품유통연구부 허 덕 박사

 

필자는 작년부터 KAPEX 사업에 전문가로써 참여하고 있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작년에는 아프리카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내륙국가 르완다를 다녀왔고, 올해에는 같은 내륙 국가이면서 우리 얼굴과 가장 닮은 나라 몽골의 지원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두 나라 모두 축산개발 또는 축산업 발전에 대해 관심이 매우 많다.

두 나라에서 본 것 중 인상에 남는 공통된 장면은 300kg이나 될까 싶은 삐쩍 마른 소들 이었다, 우리 한우는 중형종(中形種)에 속하지만, 이들 나라의 소들 중에는 대형종(大形種)이기 때문에 유육겸용종(乳肉兼用種)으로 많이 이용되는 홀스타인(Holstein)도 있었지만, 그나마도 오동통한 것은 찾아볼 수 없었다.

홀스타인종은 우리나라에서 우유를 짜는 대표적인 품종으로, 우리가 자주 볼 수 있는 얼룩이 소가 그것이다. 필자가 대학 시절에 우리 농촌에서 보았던 소의 모습 그대로여서, 옛 추억에 잠시 생각에 잠기기도 하였다. 그때만 해도 한우 출하체중이 300kg 내외 였고, 실제 통계도 300kg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이들 두 나라 모두 우리나라의 경험에 대해 무척 알고 싶어 한다. 어떻게 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어떻게 하면 농촌이 잘 살게 될까? 가 그들의 관심사인 것이다. 농업분야로 좁혀서 보면, 특히 축산업에 주목하는 것도 이러한 관심사의 실마리가 되기 때문일 것이다.

그들이 우리 축산업 중 특히 관심을 가지는 분야는 가축개량과 사육기술, 이력추적제도(traceability system), 등급판정제도, 경영관리 및 분석 등이다. 결국 축산업 성장과 발전을 통해 농촌소득을 제고하는 데, 이들 분야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가축개량 분야에 대해 말하자면, 우리나라의 경우 30년전 300kg 정도였던 한우 출하체중이 이제는 평균으로 720kg이 넘고, 800~1,000kg되는 소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 가축개량 수준은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른 속도의 성장을 이루었다. 물론 그 뒷면에는 사양관리 기술이 뒷받침되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특히 우리나라 젖소 개량수준은 세계 톱 클래스이다. 젖소 마리당 연간 산유량(産乳量) 지표로 보면, 우리가 9,000kg에 육박하는 데 비해, 르완다는 2,000kg에도 못 미치고, 몽골은 이 보다는 조금 나은 수준이다. 이들에게 우리의 가축개량 기술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사양기술 등 축산업 발전의 비결을 전파한다면, 그 나라 축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

내륙 국가들의 고충은 수출에 대한 어려움에 있다. 수출을 하려면 다른 나라를 거쳐 그 나라의 항구를 이용해야하기 때문이다. 그 돌파구가 상품의 부가가치 증진일 수밖에 없을 터이다. 우리나라 한우고기 품질이 일본 화우에 뒤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축산물 품질제고의 일등공신인 우리 축산물등급제에 대한 관심도 많다.

수입하는 국가들은 축산물에 대한 이력추적을 기본으로 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소 이력추적제에 모범이 되는 나라로 분류된다. 때문에 이들 국가의 입장에서는 우리의 이력추적 방법에 대해 관심이 많을 수밖에 없다. 이제 가축을 가두어 기르는 체제로 전환하려 하는 이들 국가의 사정 상, 이들 분야 외에 경영관리 및 분석방법과 소득 증진을 위한 방법에 대해서도 적지 않은 관심을 보인다.

우리나라 축산업도 현재 수준으로 오기까지에는 수많은 시행착오(try and error)가 있었다. 예를 들면 쇠고기이력추적제가 도입되기 전 소 전산화사업이 실패에 그쳐, 관련 공무원들이 모두 옷을 벗는 일까지 있었다. 또한, 금방 성과가 눈에 보이지 않는 가축개량사업의 특성 때문에, 가축개량사업 예산이 크게 줄어들 위기에 처한 적도 있었다. 수급불균형에 의한 가격안정 문제 또한 아직도 고민거리로 남아 있다.

우리에게도 실패의 역사가 있었다는 점 또한 이들에게 잘 알려주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우리가 현재 안고 있는 문제인 가축분뇨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 가축질병 다발의 문제 등에 대해서도 제대로 알려주어야 하지 않을까?

실제적으로 1년 중 2주 정도라는 짧은 시간 안에 이러한 내용들을 모두 전달하기는 쉽지 않겠지만, 우리가 이들 국가에 올바른 지식과 기술을 전달해 주어야 할 것이라는 사명감에 더 열심일 수밖에 없다.


* 이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맨위로이동